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서비스 소개

아동·청소년의 정서, 행동적 부적응에 대해 적합한 조기 개입을 통해 건강한 심리정서 성장을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가정의 만 18세 이하의 아동·청소년 또는 고등학교에서 재학 중인 청소년 (만19세 이상인 경우 재학증명서를 첨부할 경우 서비스 적용 대상으로 인정)

주의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발달재활서비스사업과 동시 이용 불가(행복e음에서 확인)

지원내용

  • 서비스 가격 월 18만원 (기준중위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지원)
  • 지원기간 12개월 (바우처포인트는 매월 생성) / 재판정 1회(최대 2년) 가능
  • 결제원칙 실시간 결제 (서비스 제공 시마다 해당 금액 결제)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지원내용 - 구분, 1등급(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법정 한부모가족), 2등급(기준중위소득120%이하중 1등급 제외자), 3등급(기준중위소득 120% 초과~140% 이하) 정보제공
구분 1등급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법정 한부모가족)
2등급
(기준중위소득120%이하중 1등급 제외자)
3등급
(기준중위소득 120% 초과~140% 이하)
정부지원금 162,000원 144,000원 126,000원
본인부담금 18,000원 36,000원 54,000원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 신청기간
    매월 1일~20일까지

    안내대상자 선정 후 사회보장원 전송시기 고려

    안내예산부족 시 대기자 관리 (대기자 유효기간: 당해 년도)

  • 신청방법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 주민센터에 방문 신청

구비서류

필수서류

  • 1사회보장급여 제공ㆍ변경 신청서 및 신분증
  • 2사회서비스 이용자 준수사항 안내 확인 동의서
  • 3개인정보 수집ㆍ이용 및 제3자 제공 동의서
  • 4기타증빙서류 (행복e음을 통한 소득 확인이 어려운 경우, 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등)

추가서류 (신청일 기준 6개월 이내 발급받은 아래의 서류 중 하나 제출)

  • 1의사 진단서 또는 검사결과지를 포함한 의사소견서(진료의뢰서는 인정하지 않음)
  • 2임상심리사 및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검사결과지를 포함한 소견서
  • 3청소년상담사의 검사결과지를 포함한 소견서
  • 4언어재활사 1급 소지자의 언어지연관련 검사결과지를 포함한 소견서
  • 5정신건강복지센터장의 추천서
  • 61~3 중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부터 발급받은 심층사정평가 결과지를 포함한 추천서

제공기관

나사랑심리상담센터
☎ 02-747-2131
서울탑정신과의원
☎ 02-911-9700
늘봄아동발달센터
☎ 070-7576-0628
성북 아이세상 발달센터
☎ 02-6956-9415
봄언어심리발달센터
☎ 02-981-3547
성북아동심리발달센터
☎ 02-943-7955
음악심리연구소 선율
☎ 02-942-5812
아스테리아발달센터
☎ 02-943-0302
길음종합사회복지관
☎ 02-985-0161
아이생각 아동발달센터
☎ 02-922-1279
단비아동발달청소년심리센터
☎ 02-922-8022
엠브레스마인드심리상담센터
☎ 02-941-6255
라온아동발달센터
☎ 02-919-1114
월곡종합사회복지관
☎ 02-911-5511
라임아동청소년상담센터
☎ 02-928-4275
참잘크는아이들
☎ 02-745-8269
레나심리상담센터
☎ 02-6326-4891
청담심리클리닉
☎ 02-790-7050
새별아동청소년상담센터
☎ 02-988-4611
한국심리건강센터
☎ 02-926-1272
서울시립성북청소년센터
☎ 02-3292-1796
녹양심리상담센터
☎ 02-943-8635
서울주니어상담센터
☎ 02-911-9730
헬로아동발달센터
☎ 02-960-1114

흐름도

  1. 서비스 신청/접수
    (동 주민센터)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희망자 신청 (매월 1일~20일)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입력

  2. 이용자 선별 및 판정
    (복지기획팀)

    가구별, 소득수준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에 의거 이용자 선별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개별판정(적합ㆍ부적합) 자료 입력

  3. 판정자료 전산송부
    (복지기획팀)

    선정 결과를 행복e음을 통해 사회보장정보원에 전송
    (구→사회보장정보원)

  4. 신청 결과 개별 송부
    (동 주민센터)

    서비스 신청 대상자에게 결과 통지서 우편 발송

  5. 서비스 실시
    (제공기관)

    • 바우처카드 발급
      • 만14세 미만 사회서비스 전용카드 발급(사회보장정보원)
      • 만14세-만19세 미만 카드영업점(은행,우체국,카드센터 등)을 방문 국민행복카드 (체크카드) 신청ㆍ발급
      • 만19세 이상 카드사영업점(은행,우체국,카드센터 등)을 방문하거나 홈페이지 접속 또는 콜센터에 직접 전화하여 발급 신청
    • 이용대상자는 제공기관 선택 후 서비스 이용(신청한 다음 달)

국민행복카드 신청방법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고운맘카드, 맘편한카드, 희망e든카드의 기능을 국민행복카드 한 장으로 이용가능합니다.

  • 1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 받기 (동 주민센터에서 발급 불가능)
    • 카드사(은행) 영업점 방문신청
    • 은행 홈페이지 온라인신청/ 전화신청
    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 방법 - 카드사,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신한카드 정보제공
    카드사 BC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신한카드
    방문신청 부산은행, 대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제주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우체국, NH농협, 우리은행, 수협은행, 신협은행 롯데카드 전국 영업점 및 롯데백화점 삼성카드사 전국 영업점 및 신세계·세이 백화점 KB국민카드 전국 영업점 및 KB국민은행, 전북은행 전 영업점 신한카드 전국 영업점 및 신한은행
    전화신청 1899-4651 1899-4282 1566-3336 1599-7900 1544-8868
    온라인 신청 바로가기 바로가기 바로가기 바로가기 바로가기
  • 2바우처 서비스 신청하기
    • 각 바우처 서비스별 신청서
    • 온/오프라인

    안내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 받은 후, 바우처 서비스 별도 신청 필요

    안내국민행복카드를 이미 소지한 이용자는 발급절차 없이 곧바로 각 바우처 서비스를 신청 가능

    바우처서비스 신청 방법 - 바우처 서비스, 신청방법 정보제공
    바우처 서비스 신청방법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신청
    • BC/삼성카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모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 방문 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영아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 신청

    에너지바우처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 ​정부지원형 신청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본인부담형 신청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청소년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첫만남 이용권 지원
    • 보호자 또는 그 대리인이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http://www.gov.kr) 온라인 신청
    • 우편 또는 팩스 신청

문의

성북구청 복지정책과 02-2241-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