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간병 방문서비스 사업

서비스 소개

신체적, 정신적 이유로 원활한 일상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가사지원 및 재가 간병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생활안정 및 자립기반을 지원합니다.

신청자격

만 65세 미만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 계층 중 아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 가사·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자

  • 1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2 6개월 이상 치료를 요하는 중증질환자
    •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중증질환 상병 해당자로, 최근 3개월 이내 발행된 진단서 또는 소견서 첨부
  • 3 희귀난치성 질환자
    •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희귀난치성 질환 상병 해당자로, 진단서 또는 소견서 첨부

      주의단, '행복e음'을 통해 산정특례 등록여부 확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관련 자료로 대체 가능

  • 4 소년소녀가정,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법정보호세대)
    • 이 경우 서비스 대상자는 자녀, 손자녀가 됨
  • 5 만 65세 미만의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6 기타 시ㆍ군ㆍ구청장이 예산의 범위 내에서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부상으로 인한 장기치료자 등 가사ㆍ간병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지원제외 대상
  • 1 국고로 지원되는 아래의 동일 또는 유사 돌봄서비스를 받고 있는 자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노인맞춤돌봄서비스(만65세 이상),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만 65세 미만 치매특별등급 포함)
    • 중복해당 여부는 서비스 수급 자격 취득 여부가 아닌 서비스 이용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함
  • 2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32조에 따른 보장시설 입소자
  • 3 의료기관 입원 중인 이용자
    • 입원기간 동안만 서비스 불가

    안내단 입·퇴원일은 서비스 제공 가능

지원내용

  • 신체수발 지원 목욕, 대소변, 옷 갈아입히기, 식사보조 등
  • 간병지원 체위변경, 간단한 재활운동 보조 등
  • 가사지원 쇼핑, 청소, 양육 보조 등
  • 일상생활 지원 사회활동지원(외출 동행), 정서적지원(대화, 생활상담 등)

지원기간 및 시간

  • 지원기간
    이용권(바우처) 수급자격 결정일로부터 1년

    안내단, 전체 이용자 대상으로 매년 6월, 12월에 재판정 절차를 거쳐 1년 단위로 연장 가능

  • 지원시간
    월 24시간 또는 27시간

    안내C형 : 월 40시간

서비스 비용

  • 서비스 기준단가 시간당 17,200원 (바우처 지원액 + 본인부담금)
  • 서비스 제공시간 요양보호사 1회 방문 시 최소 2시간 이상 서비스 원칙(A,B형은 이용자가 선택)
서비스 비용 - 제공시간 소득수준, 서비스 가격,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정보제공
제공시간 소득수준 서비스 가격 정부지원금 본인부담금
월 24시간
(A형)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가형) 월 412,800원 월 412,800원 면제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나형) 월 388,030원 월 24,770원
월 27시간
(B형)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가형) 월 464,400원 월 450,470원 월 13,930원
기준 중위소득 70% 이하(나형) 월 436,540원 월 27,860원
월 40시간
(C형)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월 688,000원 월 688,000원 면제

흐름도

  1. 복지대상자 신청 (동주민센터)

    구비서류제출

  2. 대상자 조사ㆍ선정 (동주민센터)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신청자 소득 및 재산 확인 (차상위 계층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조사), 건강 및 욕구 조사

  3. 보장결정ㆍ통지 (복지기획팀)

    보장 결정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결정 정보 전송), 신청인에게 결과 통지

  4. 바우처카드발급
    국민행복카드 발급

    안내대상자가 카드사 영업점 (은행,우체국,카드센터 등)을 방문하거나 홈페이지 접속 또는 콜센터에 직접 전화하여 발급 신청

  5. 서비스 이용자 (이용자)
    • 제공기간과 서비스 계약을 통한 서비스 이용
    • 성북구 제공기관
      • 성북나눔돌봄센터 (02-921-7419)
      • 늘봄방문 요양센터 (02-762-1655)

      안내서울시내 제공기관 게시처 이용가능

      https://csi.welfare.seoul.kr

국민행복카드 신청방법

  • 1 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 받기

    주의동주민센터에서 발급 불가능

    • 카드사(은행) 영업점 방문신청
    • 은행 홈페이지 온라인신청/ 전화신청
    카드사 안내 - 카드사명, 구분, 발급처, 문의(안내) 정보제공
    카드사명 구분 발급처 문의(안내)
    BC카드 방문/전화 부산은행, 대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제주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우체국, NH농협, 우리은행, 수협은행, 신협은행 각 은행(카드사)별 콜센터

    안내일반 이용문의(1899-4651)

    삼성카드 방문/전화 삼성카드사 전국 영업점 및 신세계, 세이 백화점 1566-3336
    롯데카드 방문/전화 롯데백화점 전국 영업점 및 롯데백화점 1899-4282
  • 2 바우처 서비스 신청하기
    • 각 바우처 서비스별 신청서
    • 온/오프라인

    안내국민행복카드를 이미 소지한 이용자는 발급절차 없이, 곧바로 각 바우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서비스 신청 방법 - 바우처 서비스, 신청방법 정보제공
    바우처 서비스 신청방법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신청
    • BC/삼성카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에 방문 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방문 신청
    에너지바우처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 ​정부지원형 신청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또는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신청문의

성북구청 복지정책과 02-2241-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