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성북구 청년정책 리플렛
2025 성북구 청년정책 리플렛
성북구의 청년지원정책 및 청년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된 2025 성북구 청년정책 가이드북입니다.
2025 성북구 청년정책
ㅊㄴㅈㅊ
sb성북
01 일자리 지원
캠퍼스타운
도시계획과: 02-2241-2693
대학과 지역협력을 통한 대학·지역·합동축제, 창업보육 프로그램 운영 등 대학-청ㄴ연-지역주민 상생 지역공동체 구축
운영대학: 고려대, 국민대, 서경대, 한성대
운영대상: 청년, 청년(예비)창업가, 지역주민
운영내용:
- 청년 (예비)창업자 모집, 창업 단계별 프로그램 멘토링 및 컨설팅 지원, 창업교육 실시 등 청년 창업 육성 프로그램 운영
- 대학가 중심의 청년 창업 및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운영 프로그램 일정 및 신청절차는 각 대학 캠퍼스타운 홈페이지 공고 참조
서울 매력 일자리 사업
일자리정책과: 02-2241-3996
최대 18개월간 공공기관 근무하며 업무경험과 취업에 필요한 교육,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사업참여자들에게 민간일자리로의 취업을 돕는 서울시 대표 공공일자리
사업기간: 2025.1월~12월
사업대상: 18세~39세 서울시민
근무조건:
-하루 8시간, 주 40시간 근무(사업장마다 근무 요일 상이)
- 1일 임금: 94,232원
- 1개월 개근 시 참여자 (평균) 실수령액: 2,230,310원
신청방법: 서울일자리포털 - 매력일자리 - 모집공고 (https://job.seoul.go.kr)
청년 행정체험 아르바이트
일자리정책과: 02-2241-3994
지역 청년들에게 구정 참여기회와 일 경험 제공을 통한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 지원
사업대상: 성북구에 주민등록 되어있는 청년(19세~29세)
선발인원: 220명(상반기 110명, 하반기 110명)
신청기간: 매년 11월(상반기), 5월(하반기)
근무기간: 매년 1월(상반기), 7월(하반기)
근무조건:
- 20일 근무(1일 5시간), 성북구 생활임금 적용
- 만근시 1,413,480원 지급(고용 산재 보험료 공제)
공공기관 청년인턴 지원 (신규)
일자리정책과: 02-2241-3994
민간 일자리 진입을 위한 청년들의 실무역량 및 직무경험 지원
사업기간: 2025.6월~11월(6개월)
사업대상: 성북구에 주민등록 되어있는 청년(19세~39세)
선발인원: 3명(예정)
근무장소: 성북구 관내 공공기관
근무조건:
- 20일 근무(1일 5시간), 성북구 생활임금 적용
- 1일 임금: 94,232원
- 한달 만근시 2,460,000원(세전) 지급
신청기간: 2025.4월(예정)
※ 자세한 내용은 추후 성북구청 홈페이지 참조
청년창업가게 지원
일자리정책과: 02-2241-3992
기존 유해업소가 즐비했던 삼양로 거리를 성북구 청년창업의 중심지로 활성화
운영장소: 길음청년창업거리(길음역-미아초등학교 구간)
지원내용:
- 청년창업가게 입점지원: 유해업소가 폐업한 빈자리를 활용하여 1개소당 최대 3천만원 내외의 청년 창업 지원
- 청년창업실험공간(공업사): 1개월간 펍업스토어를 운영하여 (예비) 창업가 청년들에게 창업체험 기회를 제공
- 두근두근 별길마켓: 주민참여형 플리마켓으로 10월 개최 예정
신청방법: 성북문화재단 홈페이지 공고문 참조
벤처창업지원센터 운영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02-941-6639
창업초기 기업(예비창업자)을 일정기간 입주시켜 시설, 경영지도 등 종합적 창업지원을 제공하여 청년기업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 도움
시설명: 성북벤처창업지원센터
주소: 성북구 화랑로 211
지원대상: 창업 3년 미만 개인 및 법인 사업자
신청방법: K-startup 홈페이지 = 사업공고 확인
초기창업패키지 지원
일자리정책과: 02-2241-3983
창업 인프라가 우수한 대학, 공공 및 민간기관 등을 통해 초기 창업기업(창업 3년 이내)의 사업 안정화와 성장 지원
주관기관: 고려대학교(협력기관 성북구)
지원내용: 창업 인프라 우수 대학을 초기창업기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하여 '교육-사업화-후속지원' 창업과정을 지원
블로그: K-startup 온라인 신청/접수(모집 공고일 기준 창업 3년 이내인 자)
1인창조기업지원센터 운영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4
1인 창조산업 (예비)창업자를 위한 지원 센터를 설립, 창조, 문화산업 기업을 유치함으로써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주소: 성북구 동소문로 63, 드림트리 빌딩6층
지원내용: (예비)창업자에게 무료 사무공간 및 창업프로그램 제공
입주현황 및 기간: 31석 입주, 최소 1년에서 최대 3년 입주 가능
신청방법: K-startup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
청년 패션창업 인큐베이팅
일자리정책과02-6956-3011
청년패션창업을 지원하는 시설로, 집적지 제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
주소: 성북구 지봉로20길 80
지원자격:
- 만 39세 이내 1-2인 사업자
- 사업자등록상 창업 개시 5년 이내인 사업자
- 성북구 내 봉제공장과의 협업[샘플 및 제작의뢰] 의사가 있는 업체
입주기간: 1년(입주사 정량적 평가에 의해 계약 연장 가능)
신청기간: 매년 11~12월 중 공고(성북스마트패션산업센터홈페이지 내)
신청방법: 방문 및 이메일 접수
신청절차: 1차 서류심사 및 2차 면접심사를 통해 선정
산업스마트화 공모사업
일자리정책과: 02-2241-3997
관내 제조산업의 스마트화에 접목할 유망한 창업아이템 또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성북구 3년 이내 초기 창업 청년기업 발굴 및 지원
사업내용: 제조업 분야에 우수 인재들의 4차산업(VR/AR,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지역 산업 발전 도모
지원내용: 기업당 최대 6,000만원 이내 사업화 자금 및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지원 (1인창조기업지원센터, 초기창업패키지 등 사업 연계)
성북창작소
일자리정책과: 010-7687-4310
3D 프린터, 레이저커팅기 등 대여 및 교육 프로그램, 청소년 메이커 경진대회,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등 프로그램 진행
주소: 성북구 오팬산로1길 57(창조인빌 A동, 1층)
운영내용:
- 교육프로그램: 3D프린터, 레이저커팅기 등 장비활용 교육
- 특화프로그램: 청소년 메이커 경진대회,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3D프린팅 교육 등
- 창업역량교육: 창업교육 및 상담 멘토링 서비스 지원
홈페이지: https://m.blog.naver.com/sbcreative
미취업청년 어학시험 및 자격증 응시료지원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
성북구 거주 미취업 청년들에게 어학시험, 국가공인, 국가민간공인, 한국사 등 시험의 응시료를 1인 최대 10만원 지원
지원대상: 2025.1.1 이전부터 신청일까지 주민등록상 성북구 거주중인 미취업 청년
지원내용: 당해연도 실제 응시한 어학, 국가(민간)공인, 한국사 등 시험 응시료 1인 10만원 지원
신청방법: 성북구청 홈페이지 - 참영마당 - 미취업청년 응시료 지원 - 신청하기
성북구 청년 일자리박람회
일자리정책과: 02-2241-3994
구직희망 청년, 기업, 공공기관 등이 모여 청년 취업 박람회를 진행하며, 각종 정보교류 및 취업 관련 활동을 통해 청년들의 취업 역량 향상에 도모
행사내용: 취업컨설팅, 모의면접, 관련 체험 행사 등 다양한 부스 운영
※ 행사 장소 및 일정 추후 성북구청 홈페이지 공지 예정
청년인턴 지원
지역경제과: 02-2241-3893
청년 미취업자에게 현장 근무 경험 및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에는 청년층의 우수 인력을 신규 채용하여 구직 구인난 해소에 도움
사업기간: 2025.4월~9월
사업대상: 청년(19세~39세)인턴 신청자 및 구인 중소기업
사업내용:
- 구인기업: 성북구 소재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의 중소기업
- 근무조건: 4대 보험 가입, 1일 8시간 근무
청년 소셜벤처 혁신경연대회
지역경제과: 02-2241-3893
사회적기업가를 꿈꾸는 청년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공모하여 지역 사회 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 지원함으로써 사회적경제활성화 기여
사업기간: 2025.3~4월 모집 후 5월 개최예정
사업대상: 2인 이상 창업준비팀 또는 성북구 소셜 벤처 사회적경제기업 (19세~39세 이하 청년이 전체 팀원의 50% 이상)
사업내용: 경연대회 수상팀에 사업개발비 및 사무실 임차료 지원
성북 청년스마트창업센터
일자리정채국과: 02-2241-3997
초기창업기업 입주공간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청년창업지원시설 (2026년 초 개관예정)
지원내용: 길음청년 창업거리 내 신성장 산업 창업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청년 창업 및 1인창조기업지원
02 주거지원
자립준비 청년 지원사업
생활보장과: 02-2241-2376
일정소득 기준 이하의 청년 중 취학 구직 등을 목적으로 부모와 거주지를 달리하는 경우 생활의 안정을 위한 주거급여 지원
사업기간: 2021.~진행중
사업대상: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의 임차 또는 자가가구 내 19세~30세 미만 미혼자녀 중 취학구직 등의 목적으로 부모와 거주지를 달리하는 청년
지원기준:
- 임차계약: 청년 명의의 임대차 계약 체결 및 임차료를 지불하는 청년에게 직접 지급
- 공간적 기준(분리거주): 부모와 청년이 주민등록상 시 군을 달리하는 경우
※ 도농복합시에서 부모와 청년이 도시와 농촌으로 분리거주, 대중교통 편도 소요 시간 90분을 초과할 경우
지원내용: 청년이 거주하는 지역별 기준 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지불하는 임차료 비용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생활보장과: 02-2241-2376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비 경감을 위해 24개월간 한시적 월세 지원
사업기간: 2021.~진행중
사업대상: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의 임차 또는 자가가구 내 19세~30세 미만 미혼자녀 중 취학구직 등의 목적으로 부모와 거주지를 달리하는 청년
지원기준:
- 임차계약: 청년 명의의 임대차 계약 체결 및 임차료를 지불하는 청년에게 직접 지급
- 공간적 기준(분리거주): 부모와 청년이 주민등록상 시 군을 달리하는 경우
※ 도농복합시에서 부모와 청년이 도시와 농촌으로 분리거주, 대중교통 편도 소요 시간 90분을 초과할 경우
지원내용: 청년이 거주하는 지역별 기준 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지불하는 임차료 비용
신혼부부 맞춤형 공공주택
여성가족과: 02-2241-2587
성북구 (예비)신혼부부의 주거 안정과 행복 증진을 위해 서울주택도시 공사와 협력, 공공 임대주택을 신혼부부에게 공급
사업기간: 2025.4월~10월(5월 공고예정)
사업대상: 공고일 기준 혼인신고일 7년 이내 신혼부부 및 예비 신혼부부
임대조건: 시중시세 50% 이하, 임대기간 2년, 재계약 9회 가능 (최대 20년 거주)
임대조건(총 24세대):
주택명 | 주소 | 규모 | 세대수 | 보증금(임대료)
애플하임 | 장위로 19길 29 | 1개동 지상4층 29~59㎡ | 8 | 10~32백만원(135~422천원)
다솜하우스 | 장위로 19길 33-3 | 2개동 지상5층 42~47㎡ | 16 | 11~27백만원(147~358천원)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
주택정책과: 02-2241-2707
전세사기, 역전세 현상 등으로 임대차 계약 종료 이후에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을 유도하여 전세사기 피해 예방 목적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보증효력이 유효한 전세보증금반환보증(HUG, HF, SGI)에 가입한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 무주택 임차인
- 연소득 (청년) 5천만원, (청년 외) 6천만원, (신혼부부) 7.5천만원 이하
- 제외대상자: 주택소유자, 등록임대사업자의 임대주택 임차인, 임차인이 법인, 기 수혜자, 외국인
지원내용:
- 청년 및 신혼부부: 기 납부한 보증료 전액 (최대 30만원 한도)
※ 청년: 만 19세~39세/신혼부부: 혼인신고일이 7년 이내
-그 외: 기 납부한 보증료의 90% (최대 30만원 한도)
신청방법: 온라인(정부24) 신청 또는 성북구청 9층 주택정책과 방문
※정부24(www.gov.kr)에서 검색창에 국토교통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검색
※ 대리 신청 가능
한지붕 세대공감(룸셰어링)
주택정책과: 02-2241-2705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따른 어르신의 고립감 해소 및 경제적 자립 임대수입보장, 대학생에게 저렴한 힘대료의 주거공간 제공
신청대상:
- 어르신: 주택을 소유하신 60세 이상 어르신
- 대학(원)생: 서울시 소재 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
지원내용:
- 어르신: 방 1실당 100만원 이내의 도배, 장판 등 환경 개선공사
- 대학(원)생: 무보증금,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료의 학교 근접 주거공간 확보
신청방법:
- 온라인: 서울주거포털(http://housing.seoul.go.kr)
- 방문: 성북구청 9층 주택정책과(02-2241-2705)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부동산정보과: 02-2241-4614
독립생활을 준비하는 사회초년생 및 부동산 정보에 취약한 어르신 등 1인가구를 대상으로 전월세 계약 상담 및 집보기 동행 서비스 제공
사업대상: 성북구 거주 1인 가구 또는 거주 예정 1인가구
사업내용: 전월세 계약 상담, 집보기 동행 등
- 특정 매물을 추천 또는 찾아주는 서비스가 아닌 조력자 역할 수행
운영일시: 월 목요일 13:30~17:30 (주 2회)
※ 운영시간 외 서비스는 주거안심매니저와 일정 협의
운영방법: 주거안심매니저 대면(부동산정보과 내 상담창구) 또는 전화 상담
- 주거안심매니저 2명 및 동행매니저 1명
※ 매니저: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중개업 경험이 있는 자로 선정
선정방법: 서울 1인가구 포털 홈페이지(1in.seoul.go.kr) 또는 전화 (2241-4614) 신청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이웃천사 부동산」
부동산정보과: 02-2241-4615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 청년의 주거 이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청년 1인가구의 중개보수비 50%감면
사업대상: 성북구 거주 1인가구 청년(19~39세)
지원내용: 중개업협회 및 타 기관를 통한 중개수수료 감면자(또는 지원받은 자)는 제외
사업내용: '이웃천사 부동산'으로 지정된 중개업소에서 청년 1인 가구의 임대차계약(전세 및 월세 환산보증금 1억원 이하) 시 부동산 중개보수 50% 감경
운영방법: 관내 부동산중개업소의 자율참여로 운영(참여 중개사무소: 73개소)
도전숙 운영
일자리정책과: 02-2241-3983
1인 창조기업인, 예비창업자에게 직주혼합형 공공임대주택 제공
모집대상: 1인 창조기업인(예비창업자 포함)
임대기간: 2년(연장 4회 가능, 최대 10년)
신청자격: 입주자 공고일 기준 서울시 거주하는 성년자인 무주택 세대구성원 중
- 1인 창조기업, 예비창업자, 사회적기업인이며 소득기준에 해당하는 자
※ 성북구 거주자 또는 소재지 기업, 청년(19~39세)·여성·장애인기업 등
시설현황: 총 15개동 214호실
- 동별현황: 동선동, 보문동(2), 삼선동, 정릉1동(2), 정릉2동(2), 정릉4동(4), 종암동, 장위1동(2)
신청방법: 성북구청 홈페이지 공고 확인 및 신청(성북구청 홈페이지 - 참여마당 - 도전숙)
창조인빌 운영
문화체육과: 02-2241-2609
지역예술인의 주거복지를 바탕으로 한 안정적 창작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문화예술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
지원대상: 문화예술인, 신혼부부, 과학기술종사자, 창조기업인 등 다양한 분야와 계층의 가구 중 무주택세대 구성원이면서 가구소득이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
지원내용: 선정시 창조인빌 입주 (기본 2년, 2년마다 최대 9회 재계약 가능)
신청방법: 성북구청 홈페이지 - 고시공고 - 창조인빌 공실세대 모집 공고 - 신청접수
전세피해지원센터(성북구 전세사기피해자 지원사업)
주택정책과: 02-2241-2706
전세사기로 피해 입은 임차인을 신속하고 실효적으로 지원하여 안정적인 주거환경과 주거복지 향상에 기여
지원대상: 서울특별시 성북구 주택을 임차한 사람 중, 전세사기피해 인정자(특별법 적용)
지원내용: 임대차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최대 100만원 / 긴급주거지원 주택 입주자 이사비 최대 100만원 / 전세피해 임차인 월세 월 30만원 이내 최대 12개월 지원
신청방법: 구비서류 지참 후 성북구청 주택정책과 방문접수
지원조건: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주택을 임차한 사람 중 특별법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이 결정한 전세사기피해자
03 교육지원
성북 청년 뷰티, 취업 아카데미
일자리정책과: 02-2241-3996
청년 취창업 역량 향상을 위한 관내 대학교 및 전문교육기관 연계 실습, 모의면접, 멘토링 등 뷰티, 취업, 창업 등의 아카데미 운영
사업대상: 아카데미에 관심 있는 청년(19세~39세/성북구 거주민 우선선발)
운영일정:
- 서경대 협력 성북 청년 뷰티 아카데미(네일아트): 2025.3월~5월(예정)
- 성신여대 협력 성북 청년 뷰티 아카데미(조향사): 2025.6월~8월(예정)
- 성북 청년 쇼플루언서 아카데미: 2025.하반기(예정)
- 성북 청년 취업 아카데미: 2025.하반기(예정)
교육내용:
- 관내 뷰티 대학 연계 분야별 국가(민간)자격증 취득 목료의 이론 및 실습 등
- 취,창업에 필요한 이론 및 멘토링, 모의면접, 컨설팅 등
청년공간 길이음
일자리정책과: 02-941-1937
청년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교육 프로그램과 공간 대관을 지원하며, 청년 및 주민을 대상 지역 축제, 전시 등 지역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주소: 성북구 상암로 42-12층
운영시간: 평일 10~19시(주말, 공휴일 휴관)
운영내용: 청년 창업교육, 전시, 축제, 공간 대관 등
인스타그램: @gill2m
04 복지·문화지원
1인가구 지원사업
복지정책과: 02-2241-2282
1인가구 청년들을 위한 1인가구지원센터 사업 운영, 생활용품 대여사업 및 동아리 활동 지원
1인가구지원센터 운영: 2025.1월~12월
- 센터위치: 성북온가족행복지원센터(정릉로27길61-6)
- 사업내용: 심리상담, 사회적관계망 형성 지원, 교육 여가 프로그램 운영
1인가구 물품대여소 운영: 2025.1월~12월
- 대여장소: 청년공간 동선이음(아리랑로 50)
- 대여물품: 46종 150개(진공청소기, 노트북, 헤드셋, 캐리어, 미니빔, 가습기 등)
- 대여비용: 1,000원/건(대여기간: 1회 7일 이내)
- 이용방법: 구청 홈페이지 사전예약 후 방문 수령
1인가구 동아리 활동 지원: 2025.4월~11월
- 사업대상: 성북구 1인가구
- 사업내용: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1인가구 자조모임지원
- 지원내용: 문화생활, 교육 여가 프로그램 운영 등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신규)
복지정책과: 02-2241-2473
질병, 고립, 정신질환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청, 중장년들에게 도움을 주는 사업
사업대상: 돌봄필요 청·중장년 및 가족돌봄청년
- 질병, 고립 등으로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19~64세)
- 질병, 정신질환 등을 앓고 있는 가족을 돌보거나 그로인해 생계책임을 지고 있는 청년(9~39세, 청소년 포함)
사업내용: 기본서비스+특화서비스
- 기본서비스: 재가돌봄, 가사지원, 일상지원 서비스
- 특화서비스: 식사관리 서비스, 병원동행 서비스
구분 | 서비스 이용 | 특화서비스 신청 가능 여부
돌봄·가사 - A형 - 기본돌봄 | 월 36시간 | 1개 신청 가능
돌봄·가사 - C형 - 추가돌봄 | 월 72시간 | 신청 불가
가사만 - B형 - 가시지원 | 월 24시간 | 2개 신청 가능
특화 - D형 - 식사관리 | 월 8회(주 2회) | 2개 신청 가능
특화 - D형 - 병원동행 | 월 최대 16시간 | 2개 신청 가능
지원기준: 수급자·차상위 전액지원, 그 외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본인부담
이용방식: 사회서비스 이용권(바우처) 발급을 통한 수요자 지원방식
지원기간: 6개월, 재판정 5회 가능
신청방법:
-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신청
- 복지로 온라인 신청(www.bokjiro.go.kr)
희망두배 청년통장 지원
생활보장과: 02-2241-2492
저소득 근로청년의 저축 습관을 위해 매칭금 지원,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고 다양한 자산관리 프로그램으로 성공적 자립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기간: 2025.5.(예정)~12.
사업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근로 중이거나 최근 연간 3개월 이상 근로한 청년(만 18세~34세)
사업내용:
- 몬인저축액(월 15만원)에 대해 적립기간(2·3년) 동안 1:1 매칭금 지원
- 금융교육, 재무컨설팅 등을 통해 건전한 자산관리능력을 함양시커 성공적인 자립 지원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생활보장과: 02-2241-2388
매월 저축 및 기간 내 조건 충족 시 장려금 적립을 통한 근로빈곤층 청년의 자산형성 및 경제적 자립 지원
사업내용: 매월 10~50만원 저축 시 추가 10~30만원의 근로소득 장려금을 적립, 3년 내 교육이수 등 지급조건을 충족하면 목돈으로 지급
사업대상: 가구소득 기준 차상위 이하 및 차상위 초과 청년으로, 연령 근로기준 모두 충족한 청년(성북구 홈페이지 참조)
신청방법: 거주지 인근 동 주민센터 문의
성북이룸 장학금 지원
생활보장과: 02-2241-2383
저소득 가구 장학금 지원을 통한 교육의 균등한 기회 제공 및 안정적인 자립 기반 마련
사업기간: 2025.9월~11월 중 (연 1회)
신청방법: 거주지 인근 동주민센터 문의
※ 자격요건 등 자세한 내용 성북구청 홈페이지 참조
사각지대 청년 사회활동 지원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
사각지대 청년 및 고립청년 부모 대상으로 사각지대 청년의 사회진입을 돕기 위한 자아회복 및 관계형성 프로그램 운영
사업기간: 2025.1.~12.
사업대상: 성북구 사각지대 청년, 고립청년을 자녀로 둔 부모
사업내용:
- 사각지대 청년의 사회진입을 위한 자아회복 및 관계형성지원 프로그램 운영
- 고립청년 부모 대상 자녀와의 소통 및 관계 맺기 프로그램 운영
- 고립 은둔청년 가상회사 체험 운영
세부 추진계획 및 일정 (프로그램(예정))
| 프로그램 | 세부내용
1 | 세대공감 잇다 | 청년과 어르신이 함께 어르신 자서전을 제작하여 관계형성 과정 지원
2 | 청년 구술생애사 | 심리 프로그램과 구술생애사 교육을 통한 사각지대 청년 자서전 제작
3 | 청년 러닝메이트 | 예술·신체 활동을 통한 사각지대 청년의 정서적·육체적 회복
4 | 고립청년 부모교육 | 고립청년 부모 대상 자녀와의 소통 및 관계 맺기 교육
5 | 가상회사 체험 | 실제 회사와 유사한 가상회사 체험을 통해 일상회복 기회제공
천원의 아침밥 지원
일자리정책과: 02-2241-3992
성북구 소재 대학교 재학생들에게 양질의 아침밥을 천원에 제공하여 청년들의 건강을 보장하고, 식비부담을 경감
운영기간: 2025.3.~12.(여름방학 제외)
운영대상: 고려대, 국민대, 동덕여대, 서경대, 성신여대, 한성대
지원내용: 관내 대학에 재학중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1천원의 아침밥 제공
청년공간 동선이음 운영
일자리정책과: 02-921-1939
(1인가구)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요리, 문화생활, 진로탐색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및 네트워크 형성 지원
주소: 성북구 아리랑로 50
운영시간: 화~토 10시~19시(일·월요일, 공휴일 휴무)
운영대상: 성북구 거주 및 활동 청년(19~39세) 및 지역주민
운영내용: 청년 지원 프로그램 운영, 공간 대관, 성북 청년정책 네트워크 운영지원, 1인 가구 물품대여소 지원 등
인스타그램: @dongseonieum
서울청년센터 성북(신규)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
청년정책 종합상담을 중심으로 다양한 청년활동을 지원하는 청년공간
주소: 성북구 종압로5길 7(지상 5층)
개관일: 2025.4월(예정)
운영시간: 월~금 10:00~22:00, 토 10:00~17:00(일요일, 공휴일 휴관)
운영내용: 청년정책 종합상담, 청년지원 정보제공, 청년 커뮤니티 지원 등
공간구성: 종합상담실, 화상면접실, 오픈라운지, 회의실, 교육실 등
새마을지도자 자녀 장학금 지원
자치행정과: 02-2241-2206
성북구 새마을지도자의 자녀에게 장학금 지원
지원대상: 새마을운동에 1년 이상 봉사하고 있는 새마을지도자(지도자, 부녀회, 문고) 명부에 등재된 사람의 자녀
신청기간: 2025.11월
성북청춘불패 영화제
성북문화재단: 02-2038-4901
성북청춘불패영화제는 젊은 영화인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하며, 단편영화, 영화제추진 등 다양한 창작활동을 지원
운영기간: 2025.3.~12.
운영대상: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청년('청년기본법')
운영내용:
- (성북구) 관내 영화관련 학과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단편영화 제작지원 추진
- 청년기본법 상 청년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공모 후 단편 영화 제작지원 추진
- 단편영화 작품공모 추진 및 본선경쟁 작품 선발, 단편 경쟁 섹션 추진 (34편)
- (성북구) 관내 대학에서 제작된 우수한 단편영화를 상영하는 비경쟁 특별 섹션 추진
- 영화제 추진(2025.11월 예정)
05 참여·권리지원
소행성 특별 공모전
기획예산과: 02-2241-3874
성북구 청년 또는 주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우수 아이디어 발굴 및 시상
사업대상: 19세 이상 관내 거주 청년 또는 관내 소재 대학(원)ㅅ0ㅇ
운영대상: 성북청년대상 특별 공모전 개최, 우수 아이디어 발굴 및 시상
- 공모주체: 청년 또는 주민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아이디어
- 공모형식: 정책제안서 또는 영상물
청년지원협의체 운영
일자리정책과: 02-2241-3992
청년문제는 당사자가 개별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많은 점을 고려, 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사업의 전문성 제고
역할: 청년정책 자문 및 주요안건 상의
구성현황: 18명
- 대학실무진, 청년기업가, 청년지원기관, 구의원, 청년활동가
- 회의운영: 정례회의 연 2회(필요시 수시회의 가능)
운영방법: 연 2회 정기회의 개최
성북 청년정책 네트워크 운영
일자리정책과: 02-921-1939
성북구 거주 19세~39세 청년을 대상으로 의제별 이슈와 청년의 삶을 연결지어 정책을 제안하는 네트워크 운영
활동장소: 청년공간 동선이음 및 온,오프라인 등
운영대상: 19세~39세의 성북구 거주 또는 활동 청년 50여명
운영내용:
- 청년참여기구 및 공론장 운영, 청년 정책 홍보
- 청년 정책 및 정치, 경제, 사회, 생활이슈 등 다양한 의재 탐구 및 교육
- 성북 청년의날 축제 참가 등
성북 청년의 날 행사 개최
일자리정책과: 02-2241-3993
청년의 날(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을 기념하여 성북 청년 소통의 장을 제공하기 위한 청년 축제 개최
행사일정: 9월 셋째 주 토요일
운영대상: 성북구 청년 누구나
운영내용:
- 개막식, 부스 운영, 청년 K-뷰티 체험, 청년 문화예술 공연 등
- 기존 청년지원(청년 공간, 관내 대학, 청년지원기관 등)
- 청년 K-뷰티 체험을 포함하여 글로벌 트렌드와 청년 관심 분야반영
- 청년축제기획단을 모집하여 행사 기획 및 운영 예정
청년지원 공간 - 성북구 동별 시설
청년지원시설
1 길음청년창업거리 (길음동)
운영장소: 길음청년창업거리(길음역~미아초등학교 구간)
운영대상: 19~39세의 청년(예비)창업자
운영내용
- 청년창업가게 입점 지원
- 청년창업실험공간 (공업사)
- 두근두근 별길마켓: 주민참여형 플리마켓으로 10월 개최 예정
문의: 02-2241-3992
2 청년공간 길:이음 (길음동)
주소: 성북구 삼양로 42-12층
운영대상: 지역 내 창업자, 청년활동 단체, 소상공인, 주민 등
운영시간: 월~금, 10:00~19:00
운영내용: 청년 프로그램 운영, 행사 개최, 홍보채널 및 대관 등
문의: 02-941-1937
인스타그램: @gil2m
3 청년공간 동선이음 (돈암동)
주소: 성북구 아리랑로 50
운영시간: 화~토, 10:00~19:00
운영내용: 청년지원 프로그램, 1인가구 물품대여소, 공간대관 등
문의: 02-921-1939
인스타그램: @dongseonieum
4 서울청년센터 성북 (종암동)
주소: 성북구 종암로5길 7(지상 5층)
개관일: 2025.4월(예정)
운영시간: 월~금 10:00~22:00, 토 10:00~17:00(일요일, 공휴일 휴관)
운영내용: 청년정책 종합상담, 청년지원 정보제공, 청년 커뮤니티 지원 등
공간구성: 종합상담실, 화상면접실, 오픈라운지, 회의실, 교육실 등
기술교육지원
5 성북창작소 (월곡동)
주소: 성북구 오패산로1길 57(창조인빌 A동 1층)
운영대상: 일반시민, 대학생, 예비창업가 등 누구나 이용가능
운영내용: 3D 장비활용 교육 및 공모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홈페이지: https://m.blog.naver.com/sbcreative
6 성북 청년취업사관학교 (월곡동)
주소: 성북구 오패산로3길 12, BT-IT융합센터 2층
운영대상: 분야별 기초지식을 갖춘 15세이상의 서울시민
운영내용: 소프트웨어개발자, 디지털분야 등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https://sesac.seoul.kr)
취창업지원
7 청년창업 실험공간 공업사 (길음동)
주소: 성북구 삼양로 41, 한우리타운 1층
지원내용: (예비)창업가 청년들에게 팝업스토어 운영기회 제공
문의: 02-6906-9239
인스타그램: @gong_up_sa
8 1인창조기업 지원센터 (삼선동)
주소: 성북구 동소문로 63, 드림트리 빌딩 6층
지원내용: (예비)창업자에게 무료 사무공간 및 창업프로그램 제공
입주현황: 31석 입주, 최소 1년 최장 3년까지 입주 가능
신청방법: K-Startup 누리집(www.k-startup.go.kr) 온라인 신청·접수
9 벤처창업 지원센터 (장위동)
주소: 성북구 화랑로 211
지원대상: 창업 3년 미만 개인 및 법인 사업자, 개인사업자
지원내용: 창업초기 기업(예비창업자)에게 시설, 경영지도 등 종합적 지원 제공
문의: 02-941-6639
10 성북 청년 스마트창업센터 2026년 초 개관예정 (길음동)
지원내용: 길음청년 창업거리 내 신선장 산업 창업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청년 창업 및 1인창조기업 지원
성북구 대학일자리 플러스센터 (정릉동 2개소, 동선동 1개소, 삼선동 1개소)
1 국민대학교 (02-910-5983) 성북구 정릉로 77 종합복지관 지하1층
2 서경대학교 (02-940-7626) 성북구 서경로 124 유담관 9층
3 성신여자대학교 (02-920-7119)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수정관 C동 1층
4 한성대학교 (02-760-5614)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 상상관 지하 1층
sb성북
성북청년 카카오톡 - http://pf.kakao.com/_gxoTxixb
성북청년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eongbuk_youth/?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
청년몽땅정보통 - https://youth.seoul.go.kr/
온통청년 - https://www.youthcenter.go.kr/
담당자 정보
- 정보제공부서 일자리정책과
- 전화번호02-2241-3942
- 최종수정일202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