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주요안내

글자크기

폰트크기 키움 폰트크기 줄임 100% 110% 120% 130% 140%

성북구보건소

HOME 사업안내 감염병관리 계절별 감염병

계절별 감염병

콜레라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균에 의한 급성세균성 장내감염증으로 노약자의 경우에는 사망하기도 하며 감염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크게 퍼질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입니다.

  • 원인균 : 비브리오 콜레라균
  • 감염경로
    • 환자 및 보균자의 토사물, 대변 등에 의해오염된 식수, 식기, 손, 음식물 등을 통하여 옮겨집니다.
    • 오염된 바다의 해산물 등을 날 것으로 먹을 때 감염우려가 높습니다.
  • 예방수칙
    ▶ 개인위생수칙 준수 철저
    • 물은 반드시 끓여 마시고 음식은 익혀 먹고 날 음식은 먹지 않습니다.
    • 행주, 도마, 칼 등은 소독하여 사용하고 식기류는 끓여서 사용합니다.
    • 관혼상제시 변질되기 쉬운 음식물(돼지고기 등) 집단배식을 삼가합니다.
    • 쥐, 파리, 바퀴벌레 등 위생해충을 없애고, 화장실, 하수구 등을 자주 소독하여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합니다.
    • 귀가 시 즉시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합니다.
    ▶ 식품접객업소 위생철저
    • 조리기구, 식기 등을 철저히 소독하여 사용합니다.
    • 상한 음식물은 즉시 폐기하고, 오래된 음식물은 손님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 업주 및 종사자는 정기적으로 건강진단을 반드시 받습니다.

장티프스

  • 원인균 : 살모넬라균
  • 감염경로 : 환자와 보균자의 대ㆍ소변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먹었을 때 주로 감염
  • 증상 :
    • 열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다 머물고 다시 계속되는 특이한 열병으로 서맥, 장미진, 비장의 종대, 변비가 생기며 때로는 설사 및 장에 가스가 찰 때도 있습니다.
  • 예방수칙 :
    • 공공 상수도의 보호 및 염소소독을 깨끗이 합시다.
    • 분뇨를 위생적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 우유 및 유제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합시다.
    • 어패류의 구입이나 판매에 있어 위생적으로 처리합시다.
    • 화장실 사용을 깨끗이 하고 방충망을 설치합시다.
    • 병원체 보균자는 식품을 취급하지 않도록 합시다.
    • 동남아 등 유행지역 여행자나 집단급식소, 식품위생업소 종사자는 사전에 예방접종을 맞읍시다.

세균성이질

세균성이질은 감염력이 비교적 강한 질병으로 주로 여름철에 발병하나 최근에는 겨울철에도 여러 지역에서 크고 작은 유행을 일으키는 감염병입니다.

  • 원인균 : Shigella균
  • 감염경로 :
    • 환자나 보균자가 배변후 손을 깨끗이 씻지 않았거나 긴 손톱 밑을 통하여 간접전파 되거 나 화장실 손잡이나 타올을 통해서도 감염됩니다.
  • 증상 :
    • 고열, 구역질, 경련성 복통, 잦은 설사, 혈액이나 점액이 섞인 대변
  • 예방수칙 :
    • 세균성이질 환자는 설사가 멈출 때까지 격리시켜야 한다.
    • 장관배설물의 위생적 관리를 요하며, 감염된 환자의 경우 식품취급, 탁아, 환자간호를 금해야 합니다.
    • 대변과 오염된 물건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요구됩니다.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ㆍ후에 손 씻기를 철저히 합니다.
    • 음식물은 끓여서 먹습니다.
    • 매개체인 바퀴벌레 및 해충을 없애도록 합니다.
    • 환자 발생 즉시 보건소에 신고합시다.

비브리오 패혈증

비브리오패혈증을 일으키는 균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어류와 어패류 그리고 바닷물속에 생존합니다. 그러므로 생선, 조개, 굴 등을 날로 먹거나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이 바닥물에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바닷물 온도가 17C이상 올라가는 6~10월에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원인균 : Vibrio vulnificus
  • 감염경로
    • 오염된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먹거나 바닷물에 상처 부위가 접촉하여 발생
    • 잠복기는 20~48시간
  • 증상
    • 창상 부위에 부종, 홍반, 수포와 괴사 동반, 갑작스런 발열, 오한, 전신쇠약감, 구토, 설사
  • 예방수칙 :
    • 어패류는 깨끗이 씻읍시다.
    • 여름철에 오염도가 높은 해산물(생선, 낙지, 조개, 바지락 등)은 날것 섭취를 삼가고 끓이거나 구워서 먹도록 합시다.
    • 주 감염계층은 하절기 어패류 생식을 삼가합시다.(만성 간 질환, 만성신장질환, 당뇨병환자, 면역억 제제사용자, 알콜중독자 또는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은 어패류 생식을 삼가합시다.)
    •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다에 들어가는 것을 삼가합시다.

일본뇌염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의해 발병되는 감염병으로 우리나라의 일본뇌염 유행시기는 대체로 7월 중순부터 10월 초순까지이며 그 중에서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1개월 사이에 전체의 약 80%가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원인균 : 일본뇌염 바이러스
  • 감염경로
    • 일본뇌염은 모기가 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돼지, 소, 말등과 같은 동물의 피를 빨고 난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난 다음에 사람의피를 빨 때 바이러스 균이 옮겨져 감염됩니다.
  • 증상
    • 두통, 발열, 구토 및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 의식장애, 고열, 혼수 마비를 일으키고 언어장애, 사지운동 저하 등 후유증이 있습니다.
  • 예방수칙 :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합시다.
    • 모기의 번식과 서식을 억제하는 환경개선이 필요합니다. (물이 고인 곳 제거 : 웅덩이, 화분, 깡통 등)
    • 취침 시와 야영시에는 모기장을 치거나 모기약, 또는 모기향을 이용하여 모기의 접근을 막습니다.
    • 야간은 가능한 한 옥외활동을 삼가합니다.

※ 예방접종
기초접종(3회) : 생후 13개월~24개월 사이에 1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년후 1회 접종
추가접종(2회) : 만6세와 만12세에 각 1회 접종

말라리아

최근 엘리뇨 등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경기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말라리아가 매년 확산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모기에 물리게 되면 적혈구, 간세포 내에 말라리아 원충이 감염되어 갑작스런 고열과 오한이 나는 전신 감염증입니다.

  • 원인균 : 말라리아 원충
  • 감염경로
    •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렸을 때 모기의 타액과 더불어 원충이 인체에 들어가 적혈구를 파괴하면서 발열 등 전신 증상을 일으킵니다.
  • 증상
    • 전구기 : 기침,콧물,결막염,발열등이 발생하며 감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로 3~5일간 지속
    • 발진기 : 특징적으로 머리에서 시작하여 얼굴,목,팔,몸통순으로 발진이 나타나며 이때 40℃이상의 고열이 동반
    • 회복기 : 피부발진이 적은 겨 껍질모양으로 벗겨지며 이 시기에 폐렴,중이염,기관지염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슴
  • 예방수칙 :
    •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합시다.
    • 발생지역에서는 모기의 활동시간(해진후~해뜨기 전)에 외출을 삼가합시다.
    • 말라리아 유행지를 여행 시 의사와 약사의 처방에 따라 규칙적으로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합시다.
    • 말라리아 예방약은 의사의 처방전을 필요로 합니다.(보건소에서도 처방전 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