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주요안내

글자크기

폰트크기 키움 폰트크기 줄임 100% 110% 120% 130% 140%

성북구보건소

HOME 사업안내 모성보건

모성보건

임산부 건강관리

모자보건실에서는 모든 등록 임산부에게 임신 중 필요한 검사와 엽산제 및 철분제를 무료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대상 : 관내 임산부
  • 일정 : 월~금요일(공휴일 제외),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장소 : 성북구 보건소 1층 모자보건실
  • 필요서류 : 임신확인서 또는 산모수첩

관리항목 및 내용

관리항목 및 내용 테이블
임신주수 검사/영양제 세부내용
임신확인~ 12주 임신초기검사 소변4종, 풍진검사, B형간염검사, 매독검사, HIV항체(일반), 빈혈 등 일반검사
시간 : 오전 11:30까지 또는 오후 5시까지 방문
엽산제 임신 확인 ~ 12주 까지 제공
16 ∼ 18주 기형아검사 기형아검사(쿼드검사) ※ 매주(수) 오전 제외
20 ∼ 분만전 철분제 20주 ~ 분만전까지 제공
24 ∼ 28주 임신성당뇨검사 필요요건 : 식사 후 2~3시간 금식
시간 : 오전 10:30까지 또는 오후 4:30까지 내소
방법 : 글루오렌지 복용하고 1시간 후 채혈
초음파검사 검사 등 초음파가 필요할 때

검사결과 확인

  • 공공보건포털(http://www.g-health.kr) 공인인증서 필요
  • 회원가입->온라인민원서비스->검사결과조회->"모성검사결과조회"
    • 임신초기검사 : 1주일
    • 임신성 당뇨검사 : 3일
  • ※ 검사결과는 개인정보 관계로 공공보건포털이나 보건소 방문하여 확인하여 주세요

☎ 모자보건실(02-2241-6011~2), 건강관리과(02-2241-6003)

남녀 임신준비 프로그램(신혼부부 건강검진)

가임연령 남녀 모두에게 임신 전 건강관리를 지원함으로써 계획임신률을 향상시키고 선천성 기형아발생을 예방하고자
남녀임신준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대상 : 관내(또는 관내 직장을 둔) 임신을 준비하는 부부

    ※ 신혼부부, 둘째·셋째 임신 준비 부부 모두

  • 기간 : 월 ~ 금요일(공휴일 제외)
  • 시간 : 09:00 ~ 11:00 / 13:00 ~ 16:00
  • 장소 : 성북구 보건소 7층 건강관리과

준비사항

  •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https://seoul-agi.seoul.go.kr/smom) 회원가입 → 모자보건서비스-남녀임신준비 프로그램
    신청

    ※ 성북구 주소로 가입 및 가입 시 계획임신 체크

  • QR코드

    ※ 검진 전 반드시 8시간 이상 금식 필수!

필요서류

  • 필수서류 : 주민등록 등본, 신분증

  • 아래의 경우 추가 구비서류가 필요합니다.
    • 성북구에 직장을 둔 부부 : 재직증명서 또는 사원증 등 직장인 증빙서류
    • 결혼예정인 경우 : 청첩장
    • 등본 상 분리되어 있는 부부인 경우 : 가족관계증명서

프로그램 내용

  • 건강위험요인평가 설문 및 사업동의
  • 엽산제가 포함된 멀티비타민 3개월 분 제공(남녀 모두)
  • 건강검진 항목
    • 풍진항체(여성), 난소기능검사(혈액검사로 확인), 정액검사(지정 의료기관), B형간염검사, 성병(매독, 에이즈)검사,
      갑상선기능검사, 일반혈액검사,생화학검사, 소변검사, 흉부 X-ray
  • 설문 및 건강검진을 통한 위험요인 평가 후 상담

검사결과 확인

  • 공공보건포털(http://www.g-health.kr)-온라인 민원서비스-검사결과조회-건강검진내역조회

    (공인인증서 필요)

건강관리과 ☎ 02)2241-6012

엄마젖 먹이기

생애주기 첫 단계인 결혼전부터 임신·출산시기 구민을 대상으로 마음건강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
형성 도모

엄마와 아기가 함께하는 모유수유클리닉

  • 대상 : 모유수유에 어려움을 겪는 출산모
  • 일정 :매주 목요일 14:00 ~ 16:00
  • 장소 : 성북구보건소 1층 모유 수유실
  • 내용 : 1:1 수유자세교정, 유방관리방법 및 통증관리 등
  • 예약 및 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43

예비맘을 위한 토요모유수유교육

  • 대상 : 모유수유를 계획중인 임산부
  • 일정 : 3월 ~ 12월 4째주 토요일 10:00~12:00
  • 장소 : 성북구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
  • 내용 : 모유수유의 장점 및 방법, 유방관리방법, 모유수유 문제점 해결방안 등
  • 예약 및 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43

유축기 대여

  • 기간 : 연중
  • 대상 : 모유수유가 어려운 성북구 관내 산모
  • 방법 : 휴대용 유축기 대여 (3개월)
  • 예약 및 문의 : 02-2241-6011~2

모유수유 문제점 상담 인터넷 사이트

아이사랑 (http://www.childcare.go.kr/) 바로가기

척척박사 예비맘 교실

임신과 출산, 각종 분만법 등에 대한 교육과 실습을 통하여 모성 및 태아의 건강 증진을 도모

  • 대상 : 관내 예비맘 및 임산부
  • 상반기 일정 : 4월 5일, 4월 12일, 4월 19일, 4월 26일(금요일) 14:00~16:00
  • 하반기 일정 : 9월 20일, 9월 27일, 10월 4일, 10월 11일(금요일) 14:00~16:00
  • 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
  • 내용 : 감통분만법과 호흡법, 태교 및 순산체조, 모유수유 및 신생아 돌보기, 산전·산후 우울증 예방 등
  • 예약 및 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43

성북구 산후조리원 현황

성북구 산후조리원 현황(3개소) 입니다.

연번 산후조리원명 주소 전화번호
1 루시나 산후조리원 성북구 보문로 180, 6층 (삼선동4가) 02-922-4652
2 동그라미 산후조리원 성북점 성북구 화랑로 248, 8층 (석관동) 02-2039-0000
3 첫단추 산후조리원 성북구 동소문로 48, 동도빌딩 3층(동소문동) 02-922-1400

임산부 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 서울아기 건강첫걸음 사업

체계적인 가정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임산부 및 아동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양육역량을 강화해 계층 간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

  • 대상 : 가정방문 동의한 보건소 등록한 임신20주 이상 ~ 출산 후 4주이내 임산부·출산모
  • 내용 : 보건소 등록 임산부에 대해 산전에 방문 유형(보편/지속)을 평가
  • 보편방문 : 출산 후 4주 이내 모든 가정을 1회 방문
  • 서비스 내용 : 산모건강, 신생아 신체발달상황 등 건강 평가, 신생아돌보기, 예방접종 등 정보 제공
  • 지속방문 : 영유아가 만 2세가 될 때까지 25회 이상 방문
  • 서비스 내용 : 임산부 가족과 파트너쉽 형성 및 가족의 강점과 자발성 향상을 통한 양육역량 강화
  • 신청방법(두가지 중 택1)
    - 방문신청: 보건소 모성실 방문하여 유형평가 작성
    - 온라인신청
     1.사이트접속: http://seoul-agi.seoul.go.kr/smom
     2.회원가입: 가입시 주소는 성북구, 상태는 임신 또는 출산육아 체크
      (★로그인 후에만 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므로 반드시 로그인 후 이용바랍니다)
     3.산전,산후우울평가
     4.사회심리평가
     5.서비스신청
     6.완료
  • 비 용 : 무료
  • 문 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40 ∼6042, 6004
※서비스신청 완료 후 출산일 기준으로 방문간호사가 전화하여 방문일정을 잡습니다.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

저소득청 영아(0~24개월) 가정의 육아 필수재인 기저귀 및 조제분유 지원을 통해 경제적 부담 경감 및 아이 낳기 좋은 환경 조성

지원신청 자격

  • (기저귀) 2020년 1.1일 이후 시청자부터 적용
  • 기초생활보장법 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가구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 가구
  •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차상위 가구
  • 차상위 장애인 수당·연금 수급 가구
  • 차상위계층확인서 발급 대상 가구
  •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한 지원 대상 가구(청소년한부모가족 포함)
  •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이하의 장애인 가구

    - 부 또는 모 또는 영아가 일반장애인으로 등록된 가구 대상 영아별로 지원

  • 만 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이하의 다자녀(2인 이상) 가구

    - 2인 이상 다자녀 가구 내 2세 미만 영아별로 지원

  • (조제분유)2020년 1.1일 이후 시청자부터 적용
  • 기저귀 지원 대상으로 결정된 신청인 중 산모의 특정 질별 해당여부, 산모 사망등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 아동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아동, 영아입양가정, 한부모(부자 및 조손)가정인 경우
  • 산모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 의식불명, 뇌출혈 등으로 인한 의식기능의 현저한 저하, 상반신 마비, 장기간(4주 이상) 입원
    치료, 희귀·중증난치질환자로서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 또는 면역억제제 투여, 산모의 유방절제술·유방확대술 등으로
    인한 유선손상, 질환으로 인한 지속적 약물 복용이 모유를 통해 영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 기준중위소득 80%
기준중위소득 테이블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2,394,000 79,924 45,003 80,076
3인 3,096,000 104,090 95,023 105,268
4인 3,799,000 126,909 118,159 128,407
5인 4,502,000 151,927 150,605 153,994
6인 5,205,000 174,636 178,276 177,425
7인 5,912,000 198,402 207,077 201,381
8인 6,618,000 224,298 238,415 228,710
9인 7,325,000 248,116 267,395 253,956
10인 8,032,000 268,311 289,976 276,843

* 장기요양보험료 미포함 금액임

보건소 제출 서류

  • 1) 사회보장급여신청서
    (☞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가능(보건소 홈페이지 화면→민원안내→민원서식 다운로드)
  • 2) 주민등록등본
  • 3) (기준중위소득80% 이하 가구) 건강보험증 사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신청일 기준 직전월),
  • 4) (주민등록등본상 가족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 5) (조제분유 지원 신청 시)산모의 사망을 증명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 산모의 질병 등을 증명하는 의사 진단서
    (소견서), 아동복지시설 등 입소아동·입양아동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
  • 2)~3)번 서류의 경우 『전자정부법』에 따라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한 확인에 동의할 경우는 제출 생략 가능
    (행정정보동의서 보건소에 구비)

지원 내용

  • 지원기간
    영아의 월령이 24개월 미만으로, 해당 기간 동안 지원(최대 2년)
  • 신청기한
    영아 출생 후 만 2년이 되는 날의 전날까지 신청시, 신청일 기준으로 지원.
    단, 출생일로부터 60일(출생일 포함) 이내에 신청하는 경우, 24개월 모두 지원
    예) 영아의 출생일이 ‘18.6.10’, 신청일이 ‘20.1.2’ 인 경우 신청일 기준으로 6개월분 지급
    예) 영아의 출생일이 ‘19.6.10’, 신청일이 ‘20.1.2’일인 경우 신청일 기준으로 18개월분 지급
    예) 영아의 출생일이 ‘20.1.1’, 신청일이 ‘20.1.2’ 인 경우 신청일 기준으로 24개월분 지급
  • 지원금액
    기저귀 구매비용 월 6만 4천원, 조제분유 구매비용 월 8만 6천원
  • 신청 장소 및 신청방법
    1)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 방문신청
    2) 온라인 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사이트에서 신청가능(공인인증서 로그인 필요)
    • 보건소 홈페이지 민원안내 > 민원서식다운로드에서 사회보장서비스 신청서 출력
    • 서식 작성 후 구비서류 스캔하여 파일첨부 필요
  • 카드신청
카드신청 테이블
국민행복
카드신청
BC카드 IBK기업은행, NH농협,SC제일은행,경남은행,광주은행,대구은행,부산은행,수협은행,우리은행,전북은행,제주은행, 우체국
삼성카드 삼성카드 전국 영업점 및 신세계·세이 백화점
롯데카드 롯데카드 전국 영업점 및 롯데백화점
카드발급
문의
BC카드 콜센터(1899-4651)또는 각 국민행복카드 발급 은행 콜센터
삼성카드 콜센터(1566-3336)
롯데카드 콜센터(1899-4282)
  • 바우처 사용 가능 구매처
바우처 사용 가능 구매처
국민행복
카드사
구매처
온라인 오프라인
BC카드 우체국쇼핑몰, G마켓, 옥션 나들가게(전국 170여 개 지정점)
이마트, 노브랜드, PK마켓*
*스타필드 하남·위례·고양,PK PEACOCK 대치역점
삼성카드 삼성카드 쇼핑몰 이마트
롯데카드 롯데 올마이쇼핑몰 롯데마트
  • 이마트 에브리에이 및 롯데슈퍼 사용불가(이마트, 롯데마트 방문 전 판매처 확인 문의 후 방문권고)
  • 가까운 나들가게 지정점 현황 : 나들가게 홈페이지(www.nadle.kr)▶우리동네 나들가게▶기저귀 및 조제분유 바우처 점포
  • 우체국쇼핑몰 전화주문 가능(1588-1300)
  • 문의
    신청 전 자세한 안내를 위한 전화상담(☎ 2241-6007)이 필요합니다.

임산부 전용 주차 스티커 발급

임산부에게 임산부 전용 주차구역에 우선적으로 주차 가능한 스티커를 발급해 드리고있습니다.

  • 대상 : 관내 임산부
  • 스티커 유효기간 : 신청일~분만일 이후 6개월이내
  • 장소 : 성북구 보건소 1층 모자보건실
  • 문의 : 건강관리과 ☎02-2241-6012